이 글은 제가 작업했던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수기 형식으로 작성 된 글입니다.
2022.12.09 - [[신.만.추]] - 신입이 만드는 추천시스템-1(개요)
2022.12.09 - [[신.만.추]] - 신입이 만드는 추천시스템-2(데이터 수집, 스크래핑)
2022.12.09 - [[신.만.추]] - 신입이 만드는 추천시스템-3(셀레니움 최소화)
2022.12.09 - [[신.만.추]] - 신입이 만드는 추천시스템-4(한국어 전처리 및 워드임베딩)
2022.12.10 - [[신.만.추]] - 신입이 만드는 추천시스템-5(아이템 벡터화)
2022.12.10 - [[신.만.추]] - 신입이 만드는 추천시스템-6(웹서버 구축)
2022.12.10 - [[신.만.추]] - 신입이 만드는 추천시스템-7(검색성능향상)
- 플라스크로 단일서버 구축하기
- 검색성능 향상
- 포트포워딩으로 외부 접속 허용하기
- uWSGI와 gunicorn
저번에 작성했던 글에서 플라스크로 단일서버를 구축하였다. 이제 외부접속에도 허용가능하도록 포트포워딩을 하겠다.
3. 포트포워딩으로 외부 접속 허용하기
포트포워딩은 외부에서 접속을 할 수 있도록 내 컴퓨터상의 포트를 열어두고 특정 포트로 들어온 인원에 한해서 해당 포트로 연결하는 작업을 말한다.
포트포워딩 작업을 통해서 특정 포트와 내 컴퓨터상의 포트를 연결해 두면 로컬호스트에서만 리스트를 받는것이 아니라 외부에서도 리스트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포트포워딩을 하는 방법은 통신사 혹은 공유기에 따라 다르지만 iptime공유기를 기준으로 보자면 아래와 같다.
메뉴 - 고급설정 - NAT/라우터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을 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된다.
여기서 내부 IP주소(Internal port)는 현재 접속된 PC의 IP주소로 설정하고, 프로토콜의 외부포트(External port)를 외부에 공개할 포트로 내부 포트를 공개한 포트에 연결할 포트로 적고 추가하게되면 포트포워딩이 완료된다.
플라스크의 경우 포트를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5000 포트를 사용하게 된다.
이전 글에서 포트를 따로 설정하지 않았으니, 외부 포트를 임의로 설정하고 내부포트는 5000으로 설정하면 서버의 포트포워딩이 완료된다.
참조링크
'[신.만.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라스틱서치 설치 및 환경구성 (0) | 2022.12.10 |
---|---|
신입이 만드는 추천시스템-9(WSGI) (0) | 2022.12.10 |
신입이 만드는 추천시스템-7(검색성능향상) (0) | 2022.12.10 |
신입이 만드는 추천시스템-6(웹서버 구축) (0) | 2022.12.10 |
신입이 만드는 추천시스템-5(아이템 벡터화) (0) | 2022.12.10 |